ALS 관련소식

ALS연구 가능성 확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 07-08-01 12:56    조회 11,103회

본문

ALS연구 가능성 확대
 
 작성자 :  admin  등록일 :  2002-06-18
 
 내 용 : 
 
 
"******* ALS연구 가능성 확대 ****** ***

유전자 변환모델 개발 (미 메릴랜드 볼티모어)

존스 홉킨스 대학이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연구센터 신경학 Jeffrey Rothstein 소장은 Wyeth-Ayers사의
연구팀과 함께 ALS의 유전자 변환모델(ALS 래트)을 새롭게 개발 했다고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99:1604-1609)에 보고 했다.

**래트 취급 용이**

신경변성 질환의 최초 유전자 변환모델로 여겨지는 ALS 래트는 ALS같은 장해를 나타내는 증상을 ALS
마우스 보다 신속하게 나타냈으며 세포변화도 뚜렷했다.
또 마우스에 비해 래트는 신체가 커 치명적인 ALS를 해명하고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등의 새 치료법으
로 평가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Rothstein소장은 <마우스에서는 밝힐 수 없었던 성상세포라는 뇌세포가 맡은 역할이 사람 유전자를 가
진 유전자변환 래트를 통해 밝혀젔다>고 설명한다.
소장에 따르면 마우스는 너무 작아 척수속에 줄기세포를 정확하게 주입할 수 없기 때문에 유전자 변환
래트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Wyeth-Ayers사 연구팀은 DNA를 손상시켜 세포를 죽이고 프리 레디칼을 분해하는 효소 SOD1의 변이
인간 유전자를 가진 래트를 유전 공학적으로 만들었다.
유전성 ALS원인의 약 5/1은 일부 유전적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SOD1의 이상이다. 변이 SOD1 래트
는 변이 SOD1 마우스와 마찬가지로 사람에서 나타내는 ALS와 매우 유사한 질환을 발병하여 중추 신경
계 전체에 걸쳐 운동신경세포가 사멸한다. 래트는 증상 발현 시간은 길지만 일단 발현하면 마우스 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한다.

** 줄기세포 효과 판정 쉬워져**

래트에서는 질환의 진행이 빠르기 때문에 치료제의 미묘한 효과는 나타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Jeffrey Rothstein소장은 줄기세포의 효과를 쉽게 판정할 수 있으며 이 질환을 해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고 말한다.
줄기세포는 전구세포이지만 배성줄기 세포는 신체의 어느 세포로도 분화할 수있다. 반면 신경줄기세포
와 같은 이른바 성체 줄기세포는 통상적으로 특정 조직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돼 있다.
현재로서는 이 래트 모델을 통해 ALS의 초기 단계에서 성상세포라는 특수한 뇌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성상세포는 뇌 조직의 전체 세포 중 50%를 넘게 차지하며 신경세포와 혈관을 이어주고 있다.
이러한 래트에서는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 원인을 알 수 없는 기전을 통해 신경 흥분성 전달 물질인 글우
타민산의 주요 트랜스포터가 성상세포에서부터 소멸되기 시작한다.
소장에 의하면 이 글우타민산 주요 트랜스 포터의 소멸이 운동 뉴우런 사망의 중요한 단계이며 이 사망
은 하지 마비등 여러증상과 직접 관련이 있다.

** 가설 지지증거를 찾아 **

글루타민산은 뉴런은 뉴런의 흥분시킨다. 성상세포의 글루타민산 트랜스포터는 뉴런 외부의 글루타민산
의 발란스를 적절하게 유지시키기 때문에 뉴런은 과잉 자극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성상세포의 트래스 포터가 없어지면 뉴런의 외부에서 글루타민산이 축적되어 글루타민산의 독성
이 발현한다고Jeffrey Rothstein소장은 말하고 있다.
<우리는 글루타민산이 뉴런을 과잉자극하여 뉴런사가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를 찾고 있다. SOD1 래트에서 이미 ALS의 중요한 단계가 발견됐다는 점에서
이 모델은 장래성이 있다>고 말했다.
소장에 의하면 돌연변이를 일으킨 SOD1가 어떻게 하여 뉴런을 직접 손상시키는 알 수 없지만 래트 모델
을 통해 이 효소의 이상이 어떻게 해서 질환으로 발생하는지 밝혀질 것이라고 한다.
환자나 유전변환 SOD1마우스, 래트의 중추신경계에는 이상한 SOD1 단백질 덩어리가 발견된다.
SOD1 기능의 상실은 ALS증상의 원인이 아니라 이상한 효소가 아직 확인되지 않은 기능을 갖고 있기 때
문으로 보인다.

소장은 <이상한 SOD1와 글루타민산 트랜스 포터의 소실이 관련이 있슴을 보여주는 발견은 유전성 ALS
환자나 더 많은 비 유전성 ALS에서 SOD1의 돌연변이가 나타나는 이유를 밝히는데 유용할 것>이라고 말
했다.

이 연구는 ALS협회, 미국 보건원,존스 홉킨스대학 ALS연구센터,척수질환기금 및 래드위그 암연구소의
지원을 받았다. 2000년 3월에 설립된 존스 홉킨스대학
ALS연구센터는 ALS의 새로운 치료제와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전세계의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연구 중이
다.


          . Medical Tribune  2002년 6월 13일자 게제된 내용입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